한국 조선해양 매출은 늘었지만 여전히 1조3848억원 적자

한국 조선해양 매출은 늘었지만 여전히 1조3848억원 적자

한국조선해양은 지난해 1조3848억원의 영업적자를 냈다. 강재 가격이 오르고 기준급에 대한 판단이 내려지면서 한국조선해양은 대규모 추가 충당금을 마련해 영업손실이 1조원에 달했다. 현대중공업지주는 현대정유 실적 호조에 힘입어 2018년 지주회사 전환 이후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한국조선해양은 지난해 매출이 15조493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친환경 선박 발주 증가 등 조선시장 회복세에 힘입은 것이다. 이 중 현대중공업은 8조3113억원, 현대삼호중공업은 4조2410억원, 현대미포조선은 2조8872억원으로 집계됐다. 세 회사는 한국조선해양의 자회사이다.

영업이익은 1조3848억원 적자를 냈고, 지난해 상반기 기준임금판정과 철강가격 급등에 따른 손실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지난해 12월 대법원은 현대중공업이 정기상여금과 휴일수당을 급여 소급 부분에 포함해야 한다고 판결했다. 신종 크라운 전염병의 영향으로 지난해 상반기 글로벌 공급망이 마비되고 조선의 주원료인 철강재 가격도 폭등했다.

대한조선해양은 이날 공시에서 대법원 판결에 따라 지급해야 할 총 급여액이 약 8400억원에 이른다고 밝혔다. 또 지난해 2분기에는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공사손실충당금 8900억원이 포함됐다.

또한 현대중공업지주(주)는 자회사인 현대정유 실적 호조에 힘입어 지주회사 전환 이후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2021년 현대중공업지주 연결 기준 매출액은 228조1587억원, 영업이익은 1조8540억원이다. 이 중 현대정유는 매출 20조6065억원, 영업이익 1조1424억원으로 지주회사 실적을 견인했다. 유가 상승에 따른 재고 효과가 확대되고 석유 제품 수요가 회복되어 실적이 개선되었습니다.

현대건설은 매출 3조5520억원, 영업이익 1818억원으로 지난해 8월 현대두산건설에 합류해 매출 1조6782억원, 영업이익 373억원을 기록했다.

현대중공업지주 관계자는 “지난해 관련 비용을 한 번에 반영해 불확실성을 해소했다”며 “또 조선, 정유, 건설기계 등 주요 프로젝트의 시황도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도 좋은 성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주요 사업전략과 시장을 선도하는 환경기술 연구개발 등 안정적인 실적을 유지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송성록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