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의 지난해 반도체 매출은 94조원을 돌파해 3년 만에 인텔을 제치고 글로벌 반도체 매출 1위 자리를 되찾았다.
삼성전자는 1월 27일 실적보고서를 발표하고 2021년 매출 279조6000억원, 영업이익 51조6300억원을 최종 확정했다.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8.07%, 43.45% 증가했다. 삼성전자의 지난해 매출은 2018년(243조7700억원)보다 약 14% 늘어난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영업이익은 반도체 슈퍼붐 당시인 2018년(58조8900억원), 2017년(53조6500억원) 이후 가장 높았고, 역대 3번째로 높았다.
삼성전자가 지난해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한 것은 반도체 부문의 호조 덕분이다. 반도체 부문은 지난해 매출 94조1600억원, 영업이익 29조2000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날 연간 실적을 발표한 인텔의 매출은 790억 달러(90조4234억원)로 지난해 원-달러 환율(1144.6원)로 삼성전자보다 3조7000억원 적었다. 앞서 삼성전자는 2017년 매출 기준으로 창립 이래 처음으로 인텔을 제치고 세계 반도체 매출 1위에 올랐다. 하지만 2년 차에는 인텔에 1위를 넘겨준 뒤 3년 연속(2018~2020) 2위를 지켰다.
4분기 반도체 매출은 26조1000억원, 영업이익은 8조8400억원을 기록했다. 서버 수요는 안정적으로 유지됐지만 4분기 저장장치 평균판매단가(ASP)가 소폭 하락하면서 전분기(매출 26조4100억원, 영업이익 10조6000억원)보다 실적이 하락했다. </s></s> 수있는
스마트폰, 네트워크 등 IT 모빌리티(IM) 부문은 지난해 매출 109조2500억원, 영업이익 13조6500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출시된 ‘갤럭시Z 플립3’ 등 고가 제품의 매출 증가에 힘입어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2014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IT모빌리티 부문의 지난해(2020년) 매출이 사상 처음으로 90조원대로 떨어졌다. 삼성전자는 4분기(9~12월) 실적발표회에서 같은 기간 휴대폰 7200만대, 태블릿PC 700만대를 판매했다고 밝혔다.
가전(구 CE) 부문의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55조8300억원, 3조6500억원이다. 4분기 매출은 15조3500억원, 영업이익은 7000억원을 기록했다. 회사에 따르면 연말 성수기 고가 제품 매출이 좋았고, 과거 단일 시즌 매출 기록을 세웠지만, 전분기(7600억원)보다는 이익이 줄었다. 원) 물류비 증가 기타 사유로 인한 것입니다.
지난해 설비투자액은 약 48조2000억원이다. 전년(38조5000억원)과 비교하면 약 25% 증가했다. 반도체 사업에는 총 43조6000억원이 투자됐다. 경기도 평택과 중국 시안에 생산 라인 추가 및 엔지니어링 전환, 평택에 5nm 공정 극자외선(EUV) 노광 장비 추가 등이 포함됩니다.
- 일본의 칩 장비 수출 제한은 한국 기업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다 - 2023년 03월 31일
- 일본 후쿠시마 수산물은 결코 한국 시장에 진출하지 않을 것이다 - 2023년 03월 30일
- 윤석열, 한국 출산지원정책’실패’: 지난 15년간 280조원 투입, 합계출산율 여전히 최저치 - 2023년 03월 28일